안전보건관리체계란 무엇인가 ?
고용노동부에서 최근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가이드북을 정책자료실에 게시 하였습니다. 소개해드림과 동시에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첫 페이지에는 안전보건관리체계가 무엇인지 설명합니다.
안전보건관리 체계 : 기업 스스로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관리 및 통제를 하고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고 합니다.
안전보건관리체계, 어떻게 구축해야 할까요?
핵심 요소 7가지를 아래와 같이 설명합니다.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
01 경영자 리더십
02 근로자의 참여
03 위험요인 파악
04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
05 비상조치계획 수립
06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07 평가 및 개선
Contents
부록 : 주요 중대재해 사례와 진단
총평
위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쭉 읽어보니 외주를 주고 디자인까지 해서 만든 것 같습니다. 별로 특별하거나 새로운 내용은 없는 것 같고 법 내용을 그대로 옮겨 옷 것이 대부분이고 이번 강조 주간에 소개 됐던 우수사례를 좀 넣은 것 같았습니다. 이 가이드 북 발표가 사고 예방에 영향을 미칠 확률을 0에 수렴한다라고 보면 될거 같습니다.
그리고 글을 읽다 보니 조금 이상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인데 94페이지 아랫부분입니다. 건설업에서는 하청 비율이 더 높았다고 하는데 55%가 하청에서 발생한 사고이고 45%가 원청에서 발생한 사고라고 하네요. 통계를 어떻게 집계 했는지 모르겠는데 건설업은 원청에서 사고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는데 어째서 450건이 넘는 사고가 원청에서 발생됐다고 통계를 냈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가네요.
자료 다운로드 링크
http://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10802108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안전보건교육 지침 안내서 - 고용노동부 최신개정판) (0) | 2021.09.03 |
---|---|
안전보건교육 지침 안내서 - 고용노동부 최신개정판 (0) | 2021.09.03 |
노동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개정 정리 07.19 최신판(건설현장, 사업장) (0) | 2021.07.20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정안 입법예고 (21.7.9 배포) (0) | 2021.07.09 |
심폐소생술(CPR) 하다가 환자가 사망했을 경우 법적 책임이 있을까? (0) | 2021.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