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굴착기 작업 위험성평가

by recru 2025. 4. 19.
반응형

굴착기 작업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 기준 방식)

굴착기는 토사 굴착, 적재, 성토, 암반작업 등 다양한 공정에 사용되지만,
장비의 회전반경, 협착, 전복, 전도, 전선 접촉 등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해.


📋 굴착기 위험성평가표 (F·S·L 방식)

No공정위험요인유해·위험빈도(F)강도(S)법기준(L)위험도(F×S)+L개선조치
1 굴착 중 굴착기 전도 전복, 협착, 사망 2 4 2 10 작업지반 안정화, 경사도 확인, 한계경사 준수
2 버킷 회전 근로자 협착 골절, 사망 3 3 1 10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 신호수 배치, 경보장치 사용
3 굴착 중 매설물(전선, 가스관) 접촉 감전, 폭발 1 4 2 6 위치 사전확인, 지도 비치, 탐사장비 활용
4 작업 후 퇴출 장비 후진 중 충돌 타인 충돌, 협착 2 3 1 7 후진경보장치, 유도자 배치, 시야확보
5 승하차 장비 승하차 시 미끄러짐 넘어짐, 골절 3 2 1 7 승단계 손잡이 상태 확인, 이물질 제거
6 작업 중 굴착 사면 붕괴 매몰사고 1 4 2 6 사면안정조치, 흙막이·동바리 설치
7 엔진, 유압계통 기계 누유 화재, 감전 2 3 1 7 정기점검, 작업 전 점검표 작성, 소화기 비치
8 장시간 운전 피로누적 집중력 저하, 사고 유발 3 2 0 6 적정 휴식시간, 교대근무제 운영
9 토사적재 굴착기 전면 낙토 충격, 깔림 2 3 1 7 버킷 작업 각도 조정, 인근 작업자 주의 유도

✅ 위험도 판단 기준

  • 9 이상: 즉시 조치
  • 6~8: 계획적 개선
  • 5 이하: 주기적 관리

🧾 굴착기 작업 체크리스트 (작업 전/중)

점검 항목확인 (O/X)비고
작업계획서 작성 및 현장 공유 여부    
작업반경 내 작업자 접근금지 조치    
경사면 안정성 및 전도위험 확인    
유도자/신호수 배치 여부    
후방 경고등·경보음 정상 작동 여부    
매설물 위치 사전 확인 및 마킹    
굴착기 브레이크·레버 작동 상태 확인    
작업 후 버킷 위치 저지선 설정    
운전자 보호구 착용 및 휴식시간 확보    

✅ 빈도(F) · 강도(S) · 법기준(L) 점수표

항목설명점수
빈도(F) 1: 거의 없음, 2: 가끔, 3: 자주 발생 1~3
강도(S) 1: 경상, 2: 중상, 3: 중대재해, 4: 사망 1~4
법(L) 0: 해당 없음, 1: 권고 기준, 2: 법적 강제 기준 0~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