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타설작업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by recru 2025. 4. 16.
반응형

콘크리트 타설 작업 위험성평가 + 체크리스트 (현장 실무용 정리)

콘크리트 타설작업, 현장에선 가장 긴장하는 공정 중 하나지.
한 번 실수하면 구조 안전에 영향을 주고, 추락·낙상·도장작업자 협착 등 인명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어.
그래서 위험성평가와 체크리스트 관리가 핵심이야.


🧩 콘크리트 타설 작업 개요

  • 작업 내용: 펌프카 이용 타설, 진동 다짐, 표면 마감 등
  • 작업 위치: 바닥 슬래브, 벽체, 기둥, 보 등 고소작업 포함
  • 작업 장비: 펌프카, 불도저, 바이브레이터, 호퍼 등

☠ 주요 위험요소 도출 및 F·S·L 기준 평가

No위험요소유해위험FSL위험도(F×S+L)조치방안
1 거푸집 파손 또는 강도 부족 붕괴, 추락 2 4 1 9 타설 전 구조검토, 작업 중 하중 분산
2 고소 타설 중 미끄러짐 작업자 추락 3 4 1 13 안전난간 설치, 작업 발판 확보
3 펌프카 붐 접촉 감전, 협착 2 4 1 9 전선과 거리 확보, 신호수 배치
4 바이브레이터 과다 사용 구조체 균열 2 3 0 6 적정 진동 시간 교육
5 작업자 간 협소공간 협착 협착 부상 3 3 1 10 동선 확보, 지휘자 지정
6 콘크리트 비산 피부염, 안구 손상 3 2 1 7 방수장갑, 고글, 보호구 착용 의무화
7 타설 중 거푸집 이동 붕괴 위험 1 4 1 5 타설 중 거푸집 고정 후 작업
8 펌프카 전복 전도, 협착 1 4 1 5 지반 확인, 장비 작업계획 수립

🎯 대응 조치 요약

  • 위험도 9 이상: 타설 전 사전점검 필수, 위험구간 통제
  • 협착·낙하·추락 관련 위험: 작업자 동선 분리 + 신호수 배치
  • 보호구 착용은 기본이 아닌 생명선
  • 펌프카, 바이브레이터 등 장비 사용은 숙련자 한정

🧾 콘크리트 타설 작업 체크리스트 예시

✅ 작업 전/중 점검용 체크리스트
작성자: 안전관리자 / 확인자: 작업반장

점검 항목확인 여부 (O/X)비고
거푸집 및 동바리 사전 점검 완료 여부    
펌프카 설치 지반 안전성 확인    
전선 등 감전 위험 요소 사전 제거    
작업구간 안전난간 및 발판 설치 여부    
신호수 배치 및 통신 수단 확보 여부    
작업자 보호구 (안전화, 고글, 장갑 등) 착용 여부    
바이브레이터 적정 사용 교육 여부    
콘크리트 낙하·비산 방지 조치 여부    
타설 중 거푸집 이동 금지 교육 여부    
우천, 강풍 등 기상조건 확인 여부    

→ 이 체크리스트는 모바일 점검 앱이나 출력물로 관리하면 효율적이야.


🔍 핵심 요약

  • 콘크리트 타설은 고소작업, 협착, 붕괴, 감전 등 복합위험이 존재
  • F(빈도), S(강도), L(법적기준)으로 정량평가해 위험도 계산
  • 위험도 9 이상은 반드시 개선조치
  • 체크리스트는 작업 전 사고 예방의 핵심 도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