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소작업대 위험성평가 + 체크리스트 (건설현장/물류창고용)
고소작업대는 안전하게 쓰면 효율적인 장비지만, 안전수칙 미준수 시 대형사고로 직결된다.
추락, 협착, 감전, 전도 위험은 현장 특성 따라 다르니, 위험요소를 명확히 분석하고 조치방안까지 세팅해야 한다.
🧩 고소작업대 작업 개요
- 사용 목적: 고위치 작업(전등, 배관, 덕트, 벽체 등)
- 장비 종류: 전동식/디젤식 Scissor lift, Boom lift 등
- 작업자 위치: 리프트 바스켓 내 (20m 이상 높이)
☠ 고소작업대 위험성평가 (F·S·L 방식)
No위험요소유해위험FSL위험도 (F×S+L)조치방안
1 | 작업 중 추락 | 골절, 사망 | 2 | 4 | 1 | 9 | 안전벨트 착용, 난간 설치 확인 |
2 | 지반 불균형 | 장비 전도 | 2 | 4 | 1 | 9 | 사용 전 수평확인, 아웃트리거 설치 |
3 | 천장 구조물과 협착 | 신체 협착 | 3 | 3 | 1 | 10 | 이동 시 신호수 배치, 저속 조작 |
4 | 고압선 근접 작업 | 감전사고 | 1 | 4 | 2 | 6 | 활선 거리 확보, 감전 예방 교육 |
5 | 과적 또는 인원 초과 탑승 | 전복, 추락 | 3 | 3 | 1 | 10 | 정격하중 준수, 작업 전 교육 |
6 | 리프트 오작동 | 갑작스런 낙하, 협착 | 2 | 3 | 1 | 7 | 장비 일일점검표 작성 및 확인 |
7 | 악천후 작업 | 낙하, 전도 | 1 | 4 | 1 | 5 | 우천·강풍 시 작업 중단 지침 수립 |
➡ 위험도 9 이상은 "즉시 개선조치"가 필요한 수준
🧾 고소작업대 작업 체크리스트 예시
✅ 작업 전 매일 점검 (작업자 + 안전관리자)
점검 항목확인 여부 (O/X)비고
작업대 수평상태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작업자 안전벨트 착용 및 고정 상태 확인 | ||
주변 고압선 및 장애물 여부 사전 확인 | ||
작업대 하중 초과 여부 확인 | ||
장비 일일 점검표 작성 및 상태 이상 여부 | ||
이동 시 속도 제한 및 신호수 배치 여부 | ||
리프트 상단 작업 중 협착 주의 여부 | ||
풍속, 우천 등 기상 조건 확인 여부 | ||
비상정지 스위치 작동 여부 확인 | ||
장비 운전 자격자 탑승 여부 확인 |
➡ 체크리스트는 모바일 태블릿으로 관리하거나 종이 출력해서 서명까지 받으면 문서 관리 및 법적 보호에도 유리함.
🔧 개선조치 핵심 요약
- 추락 방지: 안전벨트 착용 + 난간 구조 확인
- 전도 방지: 지면 상태 점검 + 아웃트리거 사용
- 협착 방지: 이동 중 저속 + 신호수 활용
- 감전 방지: 고압선 거리 유지 + 감전교육
- 장비 안전성: 일일점검표 작성 + 고장 장비 즉시 격리
반응형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굴착기 작업 위험성평가 (0) | 2025.04.19 |
---|---|
항타기 작업 위험성 평가(빈도강 (0) | 2025.04.18 |
타설작업 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0) | 2025.04.16 |
철근 작업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 (0) | 2025.04.15 |
씽크홀 보수 작업 위성성 평가(빈도강도) (1) | 2025.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