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빈도·강도·법 기준(FSL)으로 완벽히 이해하기
터널 공사는 고위험 작업환경 중 하나입니다. 공사 중 갱내 사고, 붕괴, 협착, 가스 중독 등 많은 위험이 존재하는데,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터널 작업의 위험성평가를 빈도·강도·법 기준(FSL) 방식으로 분석하고,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리스트와 개선 방안까지 소개할게요.
✅ 터널 작업의 위험성평가란?
터널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고,
그 위험의 정도를 **빈도(F), 강도(S), 법적기준(L)**으로 수치화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위험도 산출 공식
위험도 = (빈도 F × 강도 S) + 법기준 L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표 (FSL 방식)
No공정위험요인유해·위험빈도(F)강도(S)법기준(L)위험도(F×S)+L개선대책
1 | 굴착 작업 | 갱내 붕괴 | 매몰, 사망 | 2 | 4 | 2 | 10 | 굴착면 안정화, 흙막이 공법 적용 |
2 | 굴착 중 | 유해가스(메탄가스, 일산화탄소) 축적 | 중독, 사망 | 3 | 4 | 2 | 12 | 공기 순환, 가스 감지기 설치, 환기 |
3 | 상·하차 작업 | 협착, 추락 | 부상, 사망 | 2 | 3 | 2 | 8 | 안전통로 확보, 안전장치 설치 |
4 | 터널 운반 | 장비 충돌 | 골절, 사망 | 3 | 3 | 1 | 10 | 시야 확보, 후방 경고장치 사용 |
5 | 폭파 작업 | 폭발 위험 | 손상, 사망 | 1 | 4 | 2 | 6 | 안전거리 확보, 훈련된 전문가 배치 |
6 | 작업 후 퇴출 | 장비 전도 | 전복, 사고 | 2 | 3 | 2 | 8 | 경사도 확인, 퇴출 경로 정리 |
7 | 장기 작업 | 피로누적 | 집중력 저하, 사고 | 3 | 2 | 0 | 6 | 휴식 시간 확보, 교대근무 |
8 | 작업 중 | 협착, 불안정한 발판 | 골절, 낙상 | 2 | 3 | 1 | 7 | 발판 안정화, 안전벨트 착용 |
9 | 장비 점검 | 기계 고장 | 사고, 부상 | 1 | 3 | 1 | 5 | 정기 점검, 예방정비 실시 |
✅ 위험도 해석 기준
- 9 이상: 고위험 → 즉시 개선 필요
- 6~8: 중위험 → 계획적 개선 필요
- 5 이하: 저위험 → 정기적 모니터링 필요
🧾 터널 작업 체크리스트 (작업 전/중/후)
작업 전 점검
- 굴착면 안정성 점검
- 유해가스 감지기 점검
- 안전통로 및 작업장 정리상태 점검
- 작업장 내 환기 상태 점검
작업 중 점검
- 장비 후방 경고장치 작동 확인
- 협착 예방을 위한 통로 확보 여부 점검
- 작업자 보호구 착용 여부 확인
- 폭발성 물질의 취급 및 안전거리 확보
작업 후 점검
- 장비의 정상 작동 여부 점검
- 작업자 피로도 체크
- 퇴출 경로와 장비 상태 확인
🔍 SEO 최적화 키워드 추천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
- 터널 공사 위험요인
- 갱내 붕괴 예방
- 유해가스 중독 방지
- FSL 위험도 평가
- 터널 작업 안전 체크리스트
🧠 마무리: 안전한 터널 공사를 위한 첫걸음
터널 작업은 높은 위험도를 지닌 작업으로, 미리 위험성평가를 통해 잠재적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빈도·강도·법 기준(FSL) 방식을 사용하면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우선순위를 매기고,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위험도 분석 후,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개선 조치와 체크리스트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세요.
반응형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주요 사항(2025년 최근) (0) | 2025.05.02 |
---|---|
8대 전문직 비교, 시험 과목, 일정, 합격 경쟁 (0) | 2025.04.24 |
지게차 작업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 (1) | 2025.04.20 |
굴착기 작업 위험성평가 (0) | 2025.04.19 |
항타기 작업 위험성 평가(빈도강 (0) | 2025.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