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터널 작업 위험성 평가

by recru 2025. 4. 21.
반응형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빈도·강도·법 기준(FSL)으로 완벽히 이해하기

터널 공사는 고위험 작업환경 중 하나입니다. 공사 중 갱내 사고, 붕괴, 협착, 가스 중독 등 많은 위험이 존재하는데,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터널 작업의 위험성평가를 빈도·강도·법 기준(FSL) 방식으로 분석하고,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리스트와 개선 방안까지 소개할게요.


✅ 터널 작업의 위험성평가란?

터널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고,
그 위험의 정도를 **빈도(F), 강도(S), 법적기준(L)**으로 수치화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위험도 산출 공식
위험도 = (빈도 F × 강도 S) + 법기준 L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표 (FSL 방식)

No공정위험요인유해·위험빈도(F)강도(S)법기준(L)위험도(F×S)+L개선대책
1 굴착 작업 갱내 붕괴 매몰, 사망 2 4 2 10 굴착면 안정화, 흙막이 공법 적용
2 굴착 중 유해가스(메탄가스, 일산화탄소) 축적 중독, 사망 3 4 2 12 공기 순환, 가스 감지기 설치, 환기
3 상·하차 작업 협착, 추락 부상, 사망 2 3 2 8 안전통로 확보, 안전장치 설치
4 터널 운반 장비 충돌 골절, 사망 3 3 1 10 시야 확보, 후방 경고장치 사용
5 폭파 작업 폭발 위험 손상, 사망 1 4 2 6 안전거리 확보, 훈련된 전문가 배치
6 작업 후 퇴출 장비 전도 전복, 사고 2 3 2 8 경사도 확인, 퇴출 경로 정리
7 장기 작업 피로누적 집중력 저하, 사고 3 2 0 6 휴식 시간 확보, 교대근무
8 작업 중 협착, 불안정한 발판 골절, 낙상 2 3 1 7 발판 안정화, 안전벨트 착용
9 장비 점검 기계 고장 사고, 부상 1 3 1 5 정기 점검, 예방정비 실시

위험도 해석 기준

  • 9 이상: 고위험 → 즉시 개선 필요
  • 6~8: 중위험 → 계획적 개선 필요
  • 5 이하: 저위험 → 정기적 모니터링 필요

🧾 터널 작업 체크리스트 (작업 전/중/후)

작업 전 점검

  • 굴착면 안정성 점검
  • 유해가스 감지기 점검
  • 안전통로 및 작업장 정리상태 점검
  • 작업장 내 환기 상태 점검

작업 중 점검

  • 장비 후방 경고장치 작동 확인
  • 협착 예방을 위한 통로 확보 여부 점검
  • 작업자 보호구 착용 여부 확인
  • 폭발성 물질의 취급 및 안전거리 확보

작업 후 점검

  • 장비의 정상 작동 여부 점검
  • 작업자 피로도 체크
  • 퇴출 경로와 장비 상태 확인

🔍 SEO 최적화 키워드 추천

  • 터널 작업 위험성평가
  • 터널 공사 위험요인
  • 갱내 붕괴 예방
  • 유해가스 중독 방지
  • FSL 위험도 평가
  • 터널 작업 안전 체크리스트

🧠 마무리: 안전한 터널 공사를 위한 첫걸음

터널 작업은 높은 위험도를 지닌 작업으로, 미리 위험성평가를 통해 잠재적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빈도·강도·법 기준(FSL) 방식을 사용하면 위험도를 수치화하여 우선순위를 매기고, 효과적으로 위험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위험도 분석 후,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개선 조치와 체크리스트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