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지게차 작업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

by recru 2025. 4. 20.
반응형

✅ 지게차 위험성평가란?

지게차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소를 분석하고,
그 위험의 정도를 빈도(F), 강도(S), 법적기준(L) 으로 수치화하여 위험도를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 F (빈도):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
  • S (강도): 사고 발생 시 얼마나 심각한가?
  • L (법 기준): 관련 법령상 얼마나 중요한가?

위험도 계산 공식
위험도 = (빈도 × 강도) + 법 기준


📋 지게차 작업 위험성평가표 (FSL 방식)

No공정위험요인유해·위험FSL위험도개선대책
1 운행 중 전도 운전자 깔림, 충돌, 사망 2 4 2 10 과속금지, 회전 시 감속, 도로 정비
2 후진 충돌 근로자 협착, 사망 3 3 1 10 경고음, 유도자 배치, 시야확보
3 적재 과적·적재불량 낙하, 전도 2 3 1 7 중량 준수, 고정조치
4 통로 이동 미끄럼, 협소 전복, 충돌 2 3 1 7 통로 확보, 미끄럼 방지
5 포크 작동 협착 골절, 손상 3 2 1 7 신호자 지정, 하강 전 확인
6 정비 시동 유지 협착, 절단 1 4 2 6 시동 차단, 에너지 차단
7 야간 시야 확보 미흡 충돌, 낙하 2 3 1 7 조명 점검, 반사조끼 착용
8 충전 화재·감전 폭발, 화재 1 4 2 6 정격 장비 사용, 환기
9 무자격 운전 자격 미달, 동승 낙상, 사고 2 2 2 6 자격 확인, 표지 부착

위험도 해석 기준

  • 9 이상: 고위험 → 즉시 개선
  • 6~8: 중위험 → 계획적 개선
  • 5 이하: 저위험 → 정기적 관리

🧾 작업 전 점검! 지게차 안전 체크리스트

점검 항목확인 (O/X)비고
자격자 운전 여부 확인    
포크 균형 및 파손 여부    
브레이크, 레버 작동 확인    
전조등, 경고음 정상 작동    
적재 하중 준수 및 고정    
작업 통로 정리정돈 상태    
시야 확보용 거울, 경광등    
충전기 연결 및 누전 점검    

✔️ 작업 전 매일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선제적 사고예방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