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보호프로그램 시행 2가지 경우
1. 정의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이란 ?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이란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건강장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 계획으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 분진 노출 평가 - 분진 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 호흡용 보호구의 선택, 지급 및 착용 관리
- 분진의 유해성 및 건강 영향과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교육
- 정기적 건강진단 및 사후관리
- 호흡기보호 프로그램 관련 문서 작성 및 기록 관리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05조(정의) 3호 참조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제616조(호흡기보호 프로그램 시행 등)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개정 2019. 12. 26.>
1. 법 제125조에 따른 분진의 작업환경 측정 결과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
2. 분진작업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한 사업장
분진에 의한 건강 영향
분진의 반복적 노출 또는 고농도 노출에 의해서 기관지염 또는 폐질환, 폐기능 감소 등 호흡기 질환 및 증상 발생 가능
● 발생 가능한 주요 호흡기 질환으로는 진폐증, 규폐증, 폐섬유화증, 폐렴, 폐장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질성 폐질환, 기관지확장증, 비염, 부비동염, 직업성 천식, 폐암 등이 있음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의 목표 및 절차
적극적인 호흡기질환 발생 예방을 위한 계획 수립 및 추진
● 작업장의 분진 노출 관리
●근로자 건강 보호 및 삶의 질 향상
● 의료보상 비용 절감 및 근로손실 일수 감소
● 사업장의 생산성 향상 및 필요한 인적자원 확보
산업위생관리 기술사 모범 답안지.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안전기술사 반드시 합격하는 노하우, 합격 방법 (0) | 2023.02.19 |
---|---|
중대재해 처벌법 역사와 근황 (0) | 2023.02.18 |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안전보건교육 지침 안내서 - 고용노동부 최신개정판) (0) | 2021.09.03 |
안전보건교육 지침 안내서 - 고용노동부 최신개정판 (0) | 2021.09.03 |
안전보건관리시스템 (체계) 구축 가이드 book (첨부) (0) | 2021.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