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호흡기 보호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 해야하는 2가지 경우

by recru 2023. 1. 4.
반응형



호흡기 보호프로그램 시행 2가지 경우


1. 정의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이란  ?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이란 근로자가 작업하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건강장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종합적 계획으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 분진 노출 평가 - 분진 노출기준 초과에 따른 공학적 대책
- 호흡용 보호구의 선택, 지급 및 착용 관리
- 분진의 유해성 및 건강 영향과 건강장해 예방에 관한 교육
- 정기적 건강진단 및 사후관리
- 호흡기보호 프로그램 관련 문서 작성 및 기록 관리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605조(정의) 3호 참조


호흡기 보호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
제616조(호흡기보호 프로그램 시행 등)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개정 2019. 12. 26.>

1. 법 제125조에 따른 분진의 작업환경 측정 결과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
2. 분진작업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한 사업장​


분진에 의한 건강 영향
분진의 반복적 노출 또는 고농도 노출에 의해서 기관지염 또는 폐질환, 폐기능 감소 등 호흡기 질환 및 증상 발생 가능
● 발생 가능한 주요 호흡기 질환으로는 진폐증, 규폐증, 폐섬유화증, 폐렴, 폐장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질성 폐질환, 기관지확장증, 비염, 부비동염, 직업성 천식, 폐암 등이 있음



호흡기보호 프로그램』의 목표 및 절차

적극적인 호흡기질환 발생 예방을 위한 계획 수립 및 추진
● 작업장의 분진 노출 관리
●근로자 건강 보호 및 삶의 질 향상
● 의료보상 비용 절감 및 근로손실 일수 감소
● 사업장의 생산성 향상 및 필요한 인적자원 확보





산업위생관리 ​기술사 모범 답안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