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전보건50 안전 보건 교육 강사 기준, 특별안전보건교육 누가 해야 할까? 안전보건교육의 면제 제도 까지 ! 안전보건교육은 도대체 누가 실시해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교육의 주체는 누구에게 있는가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강사 기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장 안전보건교육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가. 법 제15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나. 법 제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 다. 법 제17조제1항에 따른 안전관리자(안전관리전문기관에서 안전관리자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라. 법 제18조제1항에 따른 보건관리자(보건관리전문기관에서 보건관리자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마. 법 제19조제1항에 따른 안전보건관리담당자(안전관리전문기관 및 보건관리전문기관에서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위탁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바. 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 2021. 6. 30. 보건관리자 실태, 건설보건 비추 보건관리자 현실 현실 건설현장에 배치된 보건관리자들의 업무 행태와 현실적인 면을 들여다 보겠습니다. 선임된 통계를 보면 보건관리자의 성비는 여 7 : 남 3에 가까운 수치로 여성의 비율이 굉장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히 거칠고 올드한 분위기의 건설현장은 여성 직원의 비율이 굉장히 낮기 때문에 현장에서 바라보는 보건관리자의 시선은 매우 낯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갓 대학을 졸업한 사회 초년생이 건설업계로 많이 진출하면서 20대 초중반의 신입 여성 직원이 현장에 많이 배치되었습니다. 사회초년생도 신입이라 아는 것이 많이 없고, 현장에서도 보건관리자 선임은 초기 단계를 아는 것이 없는 상태라 선임 초반에는 많은 애로사항들이 있었습니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 지.. 2021. 6. 30.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