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허가서(PTW, Permit to Work)는 고위험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안전조치를 명확히 하고, 책임과 절차를 문서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제도입니다. 국내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 규정에 따라 작업허가서의 작성과 운영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작업허가서의 법적 기준과 작성 요령에 대한 정리입니다.
📚 법적 근거 및 지침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
이 규칙은 특정 고위험 작업에 대해 사전조사와 작업계획서 작성, 안전조치 이행 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차량계 건설기계 사용, 화학설비 작업 등은 사전조사와 작업계획서 작성이 필수입니다. 국가법령정보센터+1국가법령정보센터
2.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55호 제33조
이 고시는 안전작업허가의 작성 기준을 제시하며, KOSHA Guide P-94를 참조하여 작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안전작업허가서는 목적, 적용범위, 일반사항, 작업별 허가 절차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3. KOSHA Guide P-94-20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발행한 이 지침서는 작업허가서의 구체적인 작성 방법과 절차를 제공합니다. 화기작업, 밀폐공간작업, 정전작업 등 고위험 작업에 대한 허가 절차와 안전조치 사항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습니다.
📝 작업허가서 작성 요령
작업허가서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작업명 및 위치: 작업의 명칭과 수행 장소를 명확히 기재합니다.
- 작업내용: 작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합니다.
- 작업기간: 작업의 시작일과 종료일을 명시합니다.
- 작업자 및 감독자: 작업을 수행하는 인원과 감독자의 성명을 기재합니다.
- 유해·위험요인: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식별합니다.
- 안전조치 사항: 위험요인에 대한 예방 조치를 상세히 기술합니다.
- 비상시 대응계획: 사고 발생 시 대응 방안을 마련합니다.
- 승인 및 서명: 작업허가서의 발행자, 승인자, 작업자 등의 서명을 포함합니다.
⚠️ 작업허가 대상 작업 예시
작업허가서가 필요한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화기작업: 용접, 절단 등 불꽃을 사용하는 작업
- 밀폐공간작업: 산소 결핍이나 유해가스가 존재할 수 있는 공간에서의 작업
- 정전작업: 전기설비의 점검이나 수리 작업
- 굴착작업: 지반을 파는 작업
- 방사선작업: 방사선을 사용하는 작업
- 고소작업: 높은 곳에서의 작업
- 중장비작업: 크레인, 굴삭기 등 중장비를 사용하는 작업
이러한 작업들은 높은 위험성을 수반하므로, 작업 전 반드시 작업허가서를 작성하고 승인받아야 합니다.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감시단으로 시작해서 안전관리자 되는 방법 (1) | 2025.05.06 |
---|---|
어린이날 선물 추천, 최근 트렌드 반영 (5) | 2025.05.04 |
배치전 건강진단 입사일 이전에 하면 안되는 이 (1) | 2025.05.04 |
산업현장의 안전보건 관리: 작업자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핵심 가이드 (2) | 2025.05.03 |
배치전 건강검진 입사일 기준 전에 받으면 안된다? (0) | 2025.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