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계 위험성평가 방법: 빈도·강도·법 기준으로 정확하게 정리!
비계 위험성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
건설현장이나 물류센터 등 고소작업이 많은 현장에서는 비계 위험성평가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빈도(F), 강도(S), 법(L) 기준을 사용해 비계 작업의 위험요소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 목차
- 비계 위험성평가란?
- 비계 작업 시 주요 위험요소
- 위험성평가 3대 기준: 빈도, 강도, 법
- 위험도 계산 방법
- 평가 등급 및 대응 조치
- 실전 사례로 보는 평가 예시
- 마무리 정리: 핵심 요약
1. 비계 위험성평가란?
비계 위험성평가는 비계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 후 조치를 취하는 과정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고소작업 시 추락 위험에 대한 안전조치를 반드시 취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2. 비계 작업 시 주요 위험요소
- 작업자 추락
- 공구 또는 자재 낙하
- 비계 구조물 붕괴
- 난간·발판 등 안전시설 미설치
- 비계 부재의 부식 또는 손상
- 설치/해체 시 부적절한 작업 방식
이러한 위험요인을 식별한 후, 평가 기준에 따라 위험성을 정량화해야 합니다.
3. 위험성평가 3대 기준: 빈도(F), 강도(S), 법(L)
🔹 빈도 (Frequency, F)
해당 위험이 얼마나 자주 발생 가능한지 평가합니다.
등급설명
1 | 거의 없음 (연 1회 이하) |
2 | 가끔 (연 1~2회) |
3 | 자주 (월 1회 이상) |
4 | 매우 자주 (주 1회 이상) |
🔹 강도 (Severity, S)
사고 발생 시 인명이나 자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합니다.
등급설명
1 | 경미한 부상 (타박상 등) |
2 | 치료 필요 (골절 등) |
3 | 중대 부상 또는 장해 |
4 | 사망 또는 복수 사상자 발생 가능 |
🔹 법 (Legal, L)
해당 위험요인이 관련 법령의 규제 대상인지 여부입니다.
등급설명
0 | 법적 규제 없음 |
1 |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규정 있음 |
4. 위험도 계산 방법
✅ 위험도(Risk) = 빈도(F) × 강도(S) + 법(L)
예시:
- F=4 (매우 자주), S=4 (사망 가능), L=1 → 위험도 = 4×4 + 1 = 17
5. 평가 등급 및 대응 조치
위험도 점수위험 등급대응 방안
1~3 | 낮음 | 감시 유지 |
4~8 | 보통 | 개선 필요 |
9~15 | 높음 | 즉시 개선 필요 |
16~20 | 매우 높음 | 작업 중지 후 즉시 개선, 대체공법 검토 |
6. 실전 사례로 보는 평가 예시
상황: 3m 이상의 H형 비계에서 작업 중, 난간 미설치 상태
- 빈도(F) = 3 (주 1~2회 작업)
- 강도(S) = 4 (추락 시 사망 가능)
- 법(L) = 1 (법적 추락방지 조치 의무)
👉 위험도 = 3×4 + 1 = 13 (높음)
👉 대응: 난간 설치, 안전벨트 착용 교육, 작업 전 점검체크리스트 운영
7. 마무리 정리: 핵심 요약
- 비계 작업은 추락사고 예방이 핵심
- 빈도(F), 강도(S), 법(L) 기준으로 정량 평가
- 위험도 계산 후 적절한 개선조치가 반드시 따라야 함
- 법적 기준을 반드시 고려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방지
🔍 관련 키워드
비계 위험성평가, 고소작업 안전, 산업안전보건법, 비계 추락사고, 작업자 보호, 위험도 계산법, 건설현장 안전관리, 물류센터 안전
반응형
'안전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작업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 (0) | 2025.04.15 |
---|---|
씽크홀 보수 작업 위성성 평가(빈도강도) (1) | 2025.04.14 |
산업안전보건법상 배치전 건강진단 최근 개정 사항 안내 (1) | 2025.04.06 |
직장 내 괴롭힘 녹음, 법적 효력 있을까? (0) | 2025.04.05 |
직장 내 괴롭힘 증거 수집 방법 📌 법적 대응까지 총정리 (1) | 2025.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