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비계 작업 위험성평가(빈도강도법)

by recru 2025. 4. 14.
반응형

비계 위험성평가 방법: 빈도·강도·법 기준으로 정확하게 정리!

비계 위험성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
건설현장이나 물류센터 등 고소작업이 많은 현장에서는 비계 위험성평가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빈도(F), 강도(S), 법(L) 기준을 사용해 비계 작업의 위험요소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 목차

  1. 비계 위험성평가란?
  2. 비계 작업 시 주요 위험요소
  3. 위험성평가 3대 기준: 빈도, 강도, 법
  4. 위험도 계산 방법
  5. 평가 등급 및 대응 조치
  6. 실전 사례로 보는 평가 예시
  7. 마무리 정리: 핵심 요약

1. 비계 위험성평가란?

비계 위험성평가는 비계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평가 후 조치를 취하는 과정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고소작업 시 추락 위험에 대한 안전조치를 반드시 취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2. 비계 작업 시 주요 위험요소

  • 작업자 추락
  • 공구 또는 자재 낙하
  • 비계 구조물 붕괴
  • 난간·발판 등 안전시설 미설치
  • 비계 부재의 부식 또는 손상
  • 설치/해체 시 부적절한 작업 방식

이러한 위험요인을 식별한 후, 평가 기준에 따라 위험성을 정량화해야 합니다.


3. 위험성평가 3대 기준: 빈도(F), 강도(S), 법(L)

🔹 빈도 (Frequency, F)

해당 위험이 얼마나 자주 발생 가능한지 평가합니다.

등급설명
1 거의 없음 (연 1회 이하)
2 가끔 (연 1~2회)
3 자주 (월 1회 이상)
4 매우 자주 (주 1회 이상)

🔹 강도 (Severity, S)

사고 발생 시 인명이나 자산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합니다.

등급설명
1 경미한 부상 (타박상 등)
2 치료 필요 (골절 등)
3 중대 부상 또는 장해
4 사망 또는 복수 사상자 발생 가능

🔹 법 (Legal, L)

해당 위험요인이 관련 법령의 규제 대상인지 여부입니다.

등급설명
0 법적 규제 없음
1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규정 있음

4. 위험도 계산 방법

위험도(Risk) = 빈도(F) × 강도(S) + 법(L)

예시:

  • F=4 (매우 자주), S=4 (사망 가능), L=1 → 위험도 = 4×4 + 1 = 17

5. 평가 등급 및 대응 조치

위험도 점수위험 등급대응 방안
1~3 낮음 감시 유지
4~8 보통 개선 필요
9~15 높음 즉시 개선 필요
16~20 매우 높음 작업 중지 후 즉시 개선, 대체공법 검토

6. 실전 사례로 보는 평가 예시

상황: 3m 이상의 H형 비계에서 작업 중, 난간 미설치 상태

  • 빈도(F) = 3 (주 1~2회 작업)
  • 강도(S) = 4 (추락 시 사망 가능)
  • 법(L) = 1 (법적 추락방지 조치 의무)

👉 위험도 = 3×4 + 1 = 13 (높음)
👉 대응: 난간 설치, 안전벨트 착용 교육, 작업 전 점검체크리스트 운영


7. 마무리 정리: 핵심 요약

  • 비계 작업은 추락사고 예방이 핵심
  • 빈도(F), 강도(S), 법(L) 기준으로 정량 평가
  • 위험도 계산 후 적절한 개선조치가 반드시 따라야 함
  • 법적 기준을 반드시 고려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방지

🔍 관련 키워드

비계 위험성평가, 고소작업 안전, 산업안전보건법, 비계 추락사고, 작업자 보호, 위험도 계산법, 건설현장 안전관리, 물류센터 안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