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여름철 ‘온열질환’, 원인은 결국 전해질 불균형

by recru 2025. 7. 15.
반응형

더위는 겉 원인, 진짜 위협은 ‘몸 안의 균형 붕괴’


🧭 온열질환이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체온 조절 기능이 무너지고 생기는 급성 질환의 총칭입니다.

구분설명
열사병 체온 40도↑, 의식 저하, 땀 없음
열탈진 땀 과다, 탈수, 현기증
열경련 근육 통증, 나트륨 손실
열실신 일시적 뇌혈류 감소로 실신
 

💥 모든 온열질환의 공통 기저에는 바로 전해질 불균형이 있습니다.


💧 전해질이란?

전해질(electrolyte)은 체내에서 전기를 띠는 이온 형태의 미네랄로,
체온 조절, 신경전달, 근육 수축, 혈압 유지에 관여합니다.

대표적인 전해질:

  • 나트륨(Na⁺): 수분 균형, 신경전달
  • 칼륨(K⁺): 근육·심장 수축 조절
  • 마그네슘(Mg²⁺): 신경 안정, 열에 대한 저항력
  • 칼슘(Ca²⁺): 근육 수축 및 세포막 안정

🔥 더위와 땀 → 전해질 불균형 → 온열질환

① 더위에 노출되면?

  • 땀을 통해 체온을 낮추려는 생리적 반응
  • 이때 수분과 함께 전해질도 소실

② 물만 마시면?

  • 전해질 보충 없이 수분만 들어오면
  • 혈중 전해질이 희석되어 저나트륨혈증, 저칼륨혈증 유발

③ 결과적으로?

  • 신경전달 장애, 근육 경련, 뇌부종, 의식 저하 → 열사병 위험

🔄 전해질과 온열질환 관계 요약

현상설명
땀 과다 수분 + 전해질 함께 손실
물만 섭취 전해질 농도 희석
나트륨↓ 뇌 부종, 혼수 가능
칼륨↓ 심장 기능 저하, 근육 경련
마그네슘↓ 열에 대한 저항력 저하
전해질 불균형 온열질환의 촉매 역할
 

🧠 전해질 부족이 주는 실제 증상

전해질부족 시 증상
나트륨 메스꺼움, 두통, 혼란, 경련
칼륨 근육 약화, 부정맥, 피로
마그네슘 열에 취약, 신경과민
칼슘 손발 저림, 근육 경련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 야외 근로자, 어린이는 이 균형이 무너지기 쉽습니다.


✅ 예방은 어떻게?

● 수분만이 아니라 ‘전해질’ 함께 보충

  • 이온음료, ORS(경구 수분 보충액), 짭조름한 국물
  • 음식으로는 바나나, 된장국, 미역국, 견과류, 감자 등

● 땀 흘린 직후엔 맹물만 마시지 않기

  • 특히 30분 이상 야외 활동 후에는 반드시 전해질 보충 필요

● 전해질이 포함된 수분 섭취의 타이밍

  • 운동 전·중·후 소량씩
  • 일시에 많은 양을 마시는 것은 피함

🔚 결론

온열질환은 단순히 '더워서 쓰러진 것'이 아닙니다.
그 속엔 체내의 전해질 시스템이 무너진 결과가 숨어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의 핵심은 수분 + 전해질 균형 보충입니다.

여름철 건강관리에서 이제는 꼭 기억하세요.
‘물을 마셨다’가 아니라, ‘균형 있게 보충했는가’가 관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