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소개 해드릴 내용은 건설업 작업환경측정제도 개선 및 공정 표준화 연구에 관한 내용입니다.
작업환경측정은 계속 해오고 있지만 건설업에 적용된지 얼마 안돼서 매우 큰 혼선이 있습니다.
작업환경 측정 업체와 특수검진기관과 현장간의 3대 기관 마찰로 용어도 통일 되지 않고 측정 가이드라인이 불분명한 상황입니다.
물론 현장에서도 보건관리자에게 이에 대해 가르쳐 주거나 본사에서 어떻게 하라고 하지도 않죠.
그래서 안전보건공단에서 건설업 작업환경측정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것만 잘 읽어보시면 아무리 초보 보건관리자라해도 건설업 공종 파악 하는데 매우 용이할 것으로 보여지고
각 공종에 따라 발생되는 유해인자도 잘 정리되어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건설업 작업환경측정에 대해 알고 싶으신분은 이 가이드를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건설업 공종에 따른 정리와 유해인자 정리입니다. 가이드 라인을 보고 업체와 유해인자에 대해 이야기 하시면 됩니다.
세부 단위작업 주요 유형 및 유해인자
§ 기초파일공사
▶ 연약지반에 건축물을 축조할 때 기초의 지내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주에 파일을 박거나 구축하는 공사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전신진동, 소음, 분진
§ 굴착 및 발파작업
▶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 지하에 터파기를 하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분진, 세균, 바이러스
▶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한 지하 암석 파쇄작업 등에 이용되며 암석을 천공하고 폭약과 뇌관을 천공구멍에 넣고 폭파시켜 화약의 폭발력으로 암석을 파쇄하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분진, 소음, 암석비산분진, 진동
§ 흙막이 공사
▶ 지하 굴착 시 토사 붕괴를 막기 위해 흙막이 벽체를 지중에 설치하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소음, 분진, 용접흄
§ 거푸집 및 철근 작업
▶ 철근 조립 후 패널을 이용해 보, 기둥, 벽체 등의 형상을 만드는 공사로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를 구성하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소음, 콘크리트 분진, 목분진, 박리제(유기용제)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철근은 인장력을 부담하는 역할을 하며 철근을 가공, 조립하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소음, 용접 흄, 근골격계질환
§ 콘크리트 및 철골작업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배근과 거푸집 설치작업을 완료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배기가스(Diesel Exhaust), 소음, 진동, 6가크롬(피부), 염화비닐(Vinyl Chloride)계통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 철골부재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운반해 온 후 이를 조립도에 따라 볼트, 리벳, 용접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고 H-Beam 위에 상판을
설치하는 작업
§ 조적 및 미장공사
▶ 벽돌, 블록 등의 부재를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는 공사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모래분진(산화규소), 몰탈 접촉에 의한 피부질환
▶ 시멘트, 몰탈 등을 콘크리트 벽체, 조적벽체에 일정 두께로 바르고 경화시켜 마감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모래분진(산화규소), 시멘트(6가크롬), 실리카(Silica), 몰탈 접촉에 의한 피부질환
§ 견출 및 방수공사
▶ 콘크리트 찌꺼기 및 합판, 목재의 제거부위, 재료분리가 나타나는 부분, 턱이진 곳, 폼타이 제거, 구멍 메꾸기, 이어치기 및 후 타설 콘크리트 크랙방지 조치 등의 작업
- 주요 잠재유해인자 : 산화규소(Silicon Dioxide), 콘크리트 먼지, 국소진동
▶ 옥외의 벽, 지붕의 빗물침투, 지하실의 지하수 침투, 저수 탱크, 욕실, 수영장 등의 누수를 방지하는 공사로서 사용 재료에 따라 아스팔트 루핑방수, 시멘트 액체방수, 합성고분자 루핑방수 등이 있음
- 주요 잠재유해인자 : 콘크리트 분진, 산화규소, 피부질환, 젖은몰탈에 접촉에 의한 피부질환, 근골격계질환, 프라이머, 아스팔트 흄, 유기용제 증기, 우레탄계 접착제
§ 도장작업
▶ 도막을 형성시켜 내습성, 내후성, 내약품성을 갖도록 방부, 방청, 방화나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이며 도장재료로는 페인트, 라카, 바니스, 옻칠 등이 있고, 도장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로울러칠, 뿜칠, 붓칠
등으로 구분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분진(납 등 금속), 유기용제 증기, 페인트에
함유된 유기용제 및 금속분진, 폴리우레탄수지, 연마수지
§ 창호 및 유리공사
▶ 목재, 철재, 금속재 창호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창호프레임에 유리를
설치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지며 유리의 종류에는 투명유리, 칼라유리, 접합유리, 강화유리, 페어글라스, 망입유리, 스테인드글라스 등이
있음
- 주요 잠재유해인자 : 분진, 용접흄, 아세트산(Acetic acid)등의 유기용제
§ 조적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미장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개인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미장공의 작업강도를 고려하여 4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견출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개인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견출공의 작업강도를 고려하여 4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방수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가스상 물질/허가대상유해물질/유기화합물로 시료 채취 방식은 개인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작업 시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방수공의 작업강도를 고려하여 4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코킹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소음/유기화합물로
시료 채취 방식은 개인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작업 시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코킹공의 작업강도를 고려하여 4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타일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개인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미장공의 작업강도를 고려하여 4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석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작업 시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도장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가스상 물질/유기화합물/금속류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작업 시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철근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소음/금속류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콘크리트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철골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금속류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철근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소음/금속류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 콘크리트공/ 타설공
노출평가를 위한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는 분진/소음으로 시료
채취 방식은 작업 특성상 개인시료 측정의 어려움으로 지역시료 채취
방식, 측정 주기는 반기(6개월) 1회로 하며 측정시간은 6시간 이상으로 제안함
댓글